Web 프로그래밍/Javascript59 [Javascript] 중재자 패턴 중재자 패턴 이놈도 간단하다. 객체는 서로 다른 독립형 모듈로 구성 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객체간의 통신은 유지보수가 쉽고 다른 객체를 건드리지 않는 구조안에서 수정할 수 있는 방식이 이루어져야 한다. 서로다른 객체간의 연관도가 높을 수록 결합도가 강하다고 말하는데 중재자 패턴은 객체간의 결합도를 낮추고 독립된 객체들끼리는 서로 통신하지 않고 중재자 객체를 통해 서로가 통신한다. 책에 예제가 잘 나와있다. 두 명의 플레이어가 게임을 하는데 점수를 더 많이 얻는 사람이 승리하는 게임이다. 여기서 필요한 객체는 크게 1) 플레이어1 2) 플레이어2 3) 점수판 4) 중재자 여기서 중재자의 역할은 게임을 초기화하고 게임의 끝을 알려주고 플레이어들 간의 순서를 알려주고 점수판에 점수를 알려주는 역할을 하게 된.. 2016. 6. 7. [Javascript] 프록시 패턴 프록시 패턴 이놈도 간단하다. ajax, 이벤트 핸들러 등 특정 이벤트에 대해서 다루어 봤다면 쉽게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프록시패턴이란 한 번에 여러개의 객체를 생성해서 로드시키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적재적소 하게끔 로드를 시키는 것이다. 웹에서 예를 들자면 video 태그 인데 특정 페이지에 여러개의 video 태그를 재생시켜야 하는 페이지가 있는데 한 번에 비디오를 재생시키는 것이 아닌 특정 이벤트가 주어졌을 때 비디오 객체를 생성하여 재생시켜 준다. 이것이 게으른 초기화 라는 방법이다. 즉 객체 생성을 최대한 없앰으로써 브라우저의 실행속도를 빠르게 높일 수 있다. 2016. 6. 7. [Javascript] 퍼사드 패턴 퍼사드 패턴은 아주 간단하다. 이 글을 읽는 개발자들 모두 아마 한 번씩은 경험해 보았을 것이다. 퍼사드 패턴은 여러개의 작업처리를 하는 것을 하나로 묶어서 처리를 하는 것을 의미한다. 간단한 예제로 이벤트 버블링을 보겠다. 위의 두개의 함수는 다른 목적을 가져서 별도로 유지되어야 하는 것이 맞지만 한꺼번에 호출하는 경우도 많다. 그래서 이 둘을 함께 호출하는 메서드를 생성하는 것이 좋다. 2016. 6. 7. [Javascript] 전략 패턴 전략패턴이란? 패턴을 전략적으로 사용한다. 라는 뜻을 생각해보고 가자. 전략패턴은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유지하면서, 특정한 작업을 처리할 알고리즘을 상황에 맞게 선택해서 검증해주는 패턴이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전략패턴은 폼 유효성 검사이다. 유효성 검사를 하지 못하면 에러를 반환하는 것을 뜻한다. 또는 글을 삭제할 때 글의 존재여부 확인, 글의 권한 확인 등 모두 전략패턴이다 2016. 6. 7. [Javascript] 장식자 패턴 장식자 패턴이란 하나(부모)의 기본값이 정해져 있고 나머지(자식)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 값들에 대해서 확장하여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패턴 예를 들어 생각해보자. 물건을 하나 구입하는데 배송비의 기본 가격은 2,500원 이다. 그러나 가까운 지역일 경우에는 무료로 진행되기도 할 것이고, 제주도나 산간지역은 2,500원이 더 붙어서 가격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포인트 금액을 사용하여 1,000원을 할인하여 가격이 적용될 수도 있다. 쉽게 이해가 되겠는가? 위와 같은 경우에 장식자 패턴을 이용할 수 있다. 2016. 6. 7. [Javascript] 반복자 패턴 반복자 패턴은 말 그대로 반복적인 요소를 필요로 할 때 사용하는 패턴이다. 데이터가 저장된 내부구조는 복잡할지라도 개별 요소에 쉽게 접근할 방법이 필요 하다. 그러므로 데이터가 어떤식으로 되어있는지는 알 필요가 없고 개별 요소로 원하는 작업만 할 수 있으면 된다. 반복자 패턴에서는 next() 라는 함수를 제공한다. 전혀 어렵지 않은 패턴이다. 2016. 6. 7. 이전 1 ··· 3 4 5 6 7 8 9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