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달 간의 안드로이드 개발을 하고나서 느낀점을 기록
-
개발을 시작하게 된 계기
- 설연휴에 심심해서
- 한 번 해보고 싶어서
-
무엇을 만들지 부터 그리고 어떤 언어로 개발할지 가장 큰
고민-
하이브리드 – 현재 내가 잘 할수 있는 언어로
한다(Javascript, Cordova), 필자는 포토샵을 조금 할줄암-
사용자 반응성을 테스트 해보고 싶을 땐 가장 빨리
개발 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설정 -
구글 API의 사용성 때문에 약간 도입하기 싫은 부분도
있었음
-
사용자 반응성을 테스트 해보고 싶을 땐 가장 빨리
-
네이티브 – 조금 시간이 걸리더라도 배운다 ( Java,
Kotlin )-
네이티브를 처음에 하기 싫었던 이유는 레이아웃 구성
때문(하지만 익히고 나니 별거없음) - 자바는 조금이나마 다룰줄 알았음
-
네이티브를 처음에 하기 싫었던 이유는 레이아웃 구성
-
리액트 네이티브는 처음부터 제외시켰다( 본인은 Vue를
사용하기 때문 ) -
ios는 또한 일단 제외 하였다. 이유는 전세계 모바일
점유율을 볼 때 미국을 제외하면 안드로이드가 70%
이상이기 때문( 또한 개발자 콘솔에 매년 10만원을 낼
자신이 없었음 )
-
하이브리드 – 현재 내가 잘 할수 있는 언어로
-
현재는 네이티브(코틀린)로 갈아 탔습니다. 결국
네이티브로 돌아온다는게 한 번 해보니 알았음. 처음
개발하시는 분들은 시간이 걸리더라도 Java 혹은 Kotlin
으로 시작하시길 권유 드립니다.
-
처음으로 시작한 개발은 가볍게 스도쿠를 만들기로 하였다.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f5game.sudoku
-
Javascript, CSS를 어느정도 다루다 보니 개발자체는
오래걸리지 않음 -
스도쿠 알고리즘도 github에 찾아보니 비슷한게 있어서
커스터마이징해서 사용 -
스도쿠는 숫자 놀이라서 이미지 저작권을 생각할 필요가
없음 -
Phonegab과 Cordova를 테스트 해보던 중 Phonegab 은
이상하게 빌드할 때마다 apk 파일이 커지는 현상이 있어서
cordova 로 선택, 프레임워크는
onsen-ui 를 선택
스도쿠 퍼즐 게임 (무료) – Google Play 앱
-스도쿠 게임은 81 개의 사각형, 각각 9 개의 사각형, 9
개의 사각형 및 각각 3 개의 사각형으로 구성된 사각형을
사용합니다. 정사각형은 이미 일부 숫자로 채워져
있습니다. 스도쿠 게임의 목표는 1에서 9까지의 숫자가
겹치지 않도록 나머지 공간을 채우는 것입니다 (각 공간에
하나의 숫자 만 사용할 수 있음). 1. 각 빈 줄에 하나의
숫자 만 사용하십시오. 2. 각 공백에는 하나의 숫자 만
사용하십시오. 3. 각 작은 사각형의 공간에 숫자를 한
번만
play.google.com
- 코도바앱 생성 및 개발환경 세팅은 아래 유투브를 참조 (https://www.youtube.com/channel/UCVmD2eUTGL8Ac9fYcplrpgw/videos)
초보궁사 실전코딩 Chobo904
?무료로 앱 소스를 제공하여 누구나 쉽게 앱을 개발할 수
있게 하자는 목표로 운영되는 채널입니다. 초보자도
코딩을 몰라도 바로 앱부터 개발하는 궁극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 방문해 주…
www.youtube.com
-
개발 환경을 느슨하게 공유하자면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치(cordova 로 개발해도 설치가
필요) - Gradle 설치
- npm 설치
- VSCode 설치
- Play Console(유료 한화 약 2~3만원), Admob 가입
-
스플래시 이미지, 아이콘 이미지 generator –
https://pgicons.abiro.com/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치(cordova 로 개발해도 설치가
-
하이브리드로 개발 하였을 시 장단점
-
장점
-
CSS를 다룰줄 아니까 왠만한 디자인은 손쉽게 구현이
가능하였음 -
Javascript 이기 때문에 오픈소스가 널려 있다.
에디톨로지 답게 익숙한 거를 나만의 방식으로 손쉽게
조합이 가능하였음 -
브라우저에서 테스트를 해서 개발 공정이 너무나도
빨랐음 -
의외로 cordova에서 모바일 기기 지원되는 플러그인이
많았음(Camera, Device, Vibaration, SplashScreen)
-
CSS를 다룰줄 아니까 왠만한 디자인은 손쉽게 구현이
-
단점
-
확실히 터치가 애매모호하게 느리다(hammer.js 를
사용하면 되지만 네이티브의 느낌이 나지 않음) -
애드몹 광고 중 네이티브 광고를 할 수 없음( 본인이
만들던가, 제 3의 누군가가 만들어줄 때 까지
기다려야함 ) -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만 실행해야 하는 코드는
디버깅하기까다로웠음귀찮았음document.addEventListener(“deviceready”, function() {} - 앱 빌드시 최적화를 하는 방법을 모르겠음
-
구글 API 사용시 제약이 많으며 코도바 공식
플러그인이 없으면 개발을 못함 -
국내에 cordova로 개발을 하는 사람이 많지 않아
개발관련 공유가 어려움(혼자서 해야함)
-
확실히 터치가 애매모호하게 느리다(hammer.js 를
-
장점
onsen 프레임워크를 도입해본 이유
onsen.io 프레임워크를 도입해본 이유
프레임워크를 선택하는게 어려워하는 부분이 아닐까 싶다
사실 목표를 정하고 개발하는 것 자체는 크게 어렵지
않지만 – 프레임워크를 도입해야하나? 한다면 side
effect는 없을까? 레거시랑 잘 호환이 될까? 추후..
realmojo.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