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디스크 용량 확인하는 명령어(df/du)

' ); document.write( '' );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 else if (window.innerWidth < 768) { document.write( '‘ );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 ]]>

윈도우에서는 폴더의 우클릭을 해서 속성정보를 보면 간단하게
용량을 확인할 수 있지만 리눅스에서는 명령어 기반이기 때문에
어떤 명령어를 입력해야 할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리눅스에서 폴더 명령어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리눅스에서 디스크 용량을 확인하는 명령어는 크게 df / du
명령어가 있습니다.




1. df 명령어로
디스크 용량확인

df명령어를 입력하면 기본적으로 전체 디스크의 용량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Used의 단위는 bytes 단위 입니다. 



2. df -h 명령어로 디스크 용량 확인

df -h 명령어를 입력하면 사람이 알아보기 쉽게 단위를 변환해서
보여줍니다. 메가바이트(M), 기가바이트(G), 테라바이트(T)
단위로 볼 수 있습니다.



3. du -ah

du -ah 명령어는 현재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폴더와 파일 단위로
보여 줍니다.



4. du -sh

du -sh 명령어는 현재 디렉토리의 총량을 보여줍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