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0년대 후반 PC방과 가정에서 즐기던 CD게임들은 많은 이들에게 소중한 추억으로 남아있습니다. 특히 스타크래프트가 포함된 게임 모음집 CD는 당시 게임 잡지의 필수 부록이었으며, 함께 수록된 다양한 RTS 게임들은 게이머들에게 새로운 전략 게임의 세계를 열어주었습니다. 고전 게임 보존 사이트에서도 이러한 추억의 게임들을 찾아볼 수 있는데, 사막 지형과 외계 생명체 기지가 등장하는 RTS 게임은 당시 여러 작품에서 인기 있는 설정이었습니다. 게임 모음 CD에는 주로 데모 버전이나 셰어웨어가 포함되어 있었으며, 유닛 조립 시스템을 갖춘 전략 게임들이 다수 수록되었습니다.
90년대 게임 잡지 부록 CD의 특징과 시대적 배경
1995년부터 2000년 사이 국내 PC 게임 시장은 급격한 성장기를 맞이했습니다. 게임챔프, PC파워진, 게임피아 등의 게임 전문 잡지들은 매달 CD 부록을 통해 수십 개의 게임 데모와 셰어웨어를 제공했습니다. 스타크래프트가 1998년에 출시되었으므로 해당 게임이 포함된 CD는 1998년 이후의 잡지 부록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당시 CD 한 장에는 평균 10개에서 20개의 게임이 압축되어 수록되었으며, RTS 장르가 가장 인기 있는 카테고리였습니다. 웨스트우드의 커맨드앤컨커 시리즈, 블리자드의 워크래프트 시리즈와 함께 많은 중소 개발사들이 유사한 게임들을 출시했던 시기입니다. 특히 외계 생명체를 다루는 SF RTS 게임들이 스타크래프트의 영향으로 큰 인기를 끌었으며, 유닛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은 당시 혁신적인 게임 메카닉으로 여겨졌습니다.
사막 지형과 외계 기지가 등장하는 RTS 게임 후보들
설명하신 특징들을 종합하면 몇 가지 게임 후보를 추려볼 수 있습니다. 첫째로 크레이 엔터테인먼트의 문 프로젝트는 사막 행성을 배경으로 하는 RTS 게임으로 외계 생명체 기지가 등장합니다. 둘째로 어스 2140과 2150 시리즈는 황폐한 지구를 배경으로 하며 유닛 조립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습니다. 어밴던웨어 게임 아카이브에서 이러한 게임들의 스크린샷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셋째로 KKND 크로스파이어는 방사능 사막 지형과 돌연변이 생명체가 등장하는 독특한 RTS 게임이었습니다. 넷째로 다크 콜로니와 다크 레인 같은 작품들도 외계 행성 정복을 주제로 한 전략 게임이었습니다.
- 문 프로젝트 – 달 표면 사막 지형에서 외계 광물을 채취하며 기지를 건설하는 RTS 게임으로 1998년 출시되었습니다
- 어스 2140 – 황폐화된 지구에서 로봇 유닛을 조립하여 전투를 벌이는 게임으로 유닛 커스터마이징이 핵심 시스템입니다
- KKND 크로스파이어 – 핵전쟁 이후 사막화된 지구에서 생존자들과 돌연변이들이 싸우는 독특한 설정의 RTS입니다
- 다크 레인 – 외계 행성 탐사를 배경으로 하며 협곡 지형과 외계 생명체 둥지가 등장하는 1997년 게임입니다
유닛 조립 시스템을 가진 90년대 전략 게임 분석
90년대 후반 여러 RTS 게임들이 유닛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작품은 토탈 어나이얼레이션으로 1997년 출시되어 3D 지형과 물리 엔진을 선보였습니다. 메탈 팻스는 유닛 설계 시스템이 매우 상세했으며 플레이어가 직접 무기와 방어구를 조합할 수 있었습니다.
게임명 | 출시연도 | 주요특징 |
---|---|---|
어스 2140 | 1997년 | 로봇 유닛 부품별 조립 가능 |
메탈 팻스 | 1999년 | 상세한 유닛 디자인 시스템 |
노바 1942 | 1998년 | 우주선 부품 조합 방식 |
워존 2100 | 1999년 | 차체와 무기 분리 설계 |
90년대 게임 찾기 위한 온라인 커뮤니티 활용법
추억의 게임을 찾기 위해서는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의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레딧의 팁오브마이조이스틱 서브레딧은 게임 제목 찾기 전문 커뮤니티로 매일 수백 건의 질문이 올라옵니다. 국내에서는 루리웹 고전게임 게시판과 디시인사이드 고전게임 갤러리가 활발합니다. 모비게임즈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연도별, 장르별로 게임을 검색할 수 있으며 스크린샷도 제공됩니다. 게임 찾기 질문을 올릴 때는 기억나는 특징을 최대한 상세히 적어야 합니다. 그래픽 스타일, UI 배치, 효과음, 스토리 요소 등 작은 단서라도 중요한 정보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유튜브에서 90년대 RTS 게임 플레이 영상을 검색하면 시각적으로 게임을 비교할 수 있습니다. 많은 레트로 게임 유튜버들이 당시 게임들의 플레이 영상을 업로드하고 있으며, 댓글을 통해 게임 제목을 물어볼 수도 있습니다. 한국 게임 아카이브 프로젝트나 게임 박물관 사이트에서도 90년대 국내 출시 게임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당시 게임 잡지 표지와 목차를 스캔해둔 자료들이 있어 발매 시기를 특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저그 둥지와 유사한 외계 기지 디자인 게임들
스타크래프트의 저그 둥지와 비슷한 유기체적 건물 디자인은 여러 게임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다크 콜로니는 외계 행성에서 타란튤라족이라는 곤충형 외계인을 플레이할 수 있었는데, 그들의 기지는 살아있는 생명체처럼 보이는 독특한 디자인이었습니다. 워해머 40000 리오스도 타이라니드 종족이 유기체적 건물을 사용했습니다. 이러한 게임들은 대부분 1990년대 후반에 출시되었으며 스타크래프트의 성공 이후 유사한 설정을 채택한 경우가 많습니다. 사막 협곡 지형은 RTS 게임에서 전략적 요충지로 자주 등장하는 맵 디자인이었으며, 높낮이 차이를 활용한 전술이 중요했습니다.
게임 모음 CD에 수록되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데모 버전이나 셰어웨어였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당시 많은 중소 개발사들이 배급을 위해 잡지 부록 수록을 적극 활용했으며, 이를 통해 게임을 알리고 정식 버전 구매를 유도했습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인디 게임이나 해외 게임일 수도 있습니다. 인터넷 아카이브의 소프트웨어 섹션에서 90년대 CD롬 이미지를 찾아볼 수도 있습니다.
게임 제목 특정을 위한 추가 단서 찾기 방법
기억을 되살리기 위해 몇 가지 추가 질문을 스스로에게 해보는 것이 도움됩니다. 게임의 음악이나 효과음 중 기억나는 것이 있는지, 주요 유닛의 생김새나 이름은 어땠는지, 자원 채취 방식은 어떠했는지 등을 떠올려보세요. 게임 오버 화면이나 승리 화면의 모습, 메뉴 UI의 색상이나 폰트도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습니다. 멀티플레이 기능이 있었는지, 캠페인 모드의 스토리는 어떠했는지도 게임을 특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당시 외삼촌께서 구독하시던 잡지명을 기억해낸다면 해당 잡지의 백넘버 목록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사진을 통한 시각적 단서도 매우 중요합니다. 기억나는 유닛이나 건물의 모습을 그림으로 그려보거나, 비슷한 디자인의 게임 스크린샷을 모아 커뮤니티에 올리면 게임을 아는 사람이 답변해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고전 게임 데이터베이스 사이트들에서 연도와 장르를 필터링하여 하나씩 스크린샷을 확인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체계적으로 검색하면 분명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많은 게이머들이 이런 방식으로 20년 전 플레이했던 게임을 다시 찾아내는 데 성공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