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eb Developer1904

하드디스크 인터페이스 IDE ( Integrated Drive Electronics )- 병렬방식 - 4개의 장치 장착 가능 EIDE ( Extended IDE )- 확장된 IDE 방식 - 8개의 장치 장착 가능 SCSI (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 직렬 방식 - 16개의 장치 장착 가능 장치명 /dev/sdb파티션 설정 명령 fdisk /dev/sdb 주 파티션 1개 용량 1GB 파티션 생성 /dev/sdb1 파일시스템 생성 명령(포맷) : mkfs -t ext4 /dev/sdb1 SATA ( Seria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 마더 보드에 있는 포트에 직접 연결하는 방식 - 마더 보드 포트 개수만큼 장착 가능 2016. 7. 4.
USB 마운트 하기 본인은 라즈베리파이3 환경에서 테스트를 하였습니다. 다른 리눅스에서도 아마 동일하게 적용이 될 것 같습니다 1. 우선 USB를 꼽습니다.리눅스에서 /dev 폴더는 장치와 관련된 폴더 입니다.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여 USB가 인식이 되었는지 확인을 합니다USB는 보통 sda1 로 잡힙니다.ls -al /dev/sda*확인을 해보시면 b 의 바이너리 파일이어서 직접적으로 접근하기는 어렵습니다.  USB가 잡혀 있는 것을 확인 했다면 마운트를 해야 합니다.마운트는 서로간의 디렉토리 폴더를 연결한다 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우선 마운트를 하기위한 디렉토리를 생성합니다.mkdir /disk디렉토리를 생성 했으면 이제 USB장치를 /disk 폴더에 마운트 합니다.mount -t vfat /dev/sda1.. 2016. 7. 4.
vi 명령어 편집기 번호 나타나기 입력 명령어a, i, o, s, rA, I, O, S, R 커서 이동명령어Ctrl+f, Ctrl+b, Ctrl+d, Ctrl+u$, 0, w ,b 삭제 명령어(숫자)x, X, dd, D 복사 명령어yy, "ayy, p, "ap 검색 명령어/ 현재 커서의 뒤를 검색? 현재 커서의 앞을 검색 저장 명령어:q, :w, :wq, :wq!, :q!, ZZ 기타 명령어:e 파일명 현재 편집 중인 파일을 유지하면서 다른 문서를 불러옴, 불러오기전에 현재 편집하고 있는 문서는 저장할 것:e# 편집중인 두개의 문서를 번갈아 나타남:se nu -> 문서의 행 번호가 나타남:se nonu -> 문서의 행 번호가 없어짐 2016. 7. 3.
history 명령어 사용하기 history 명령 후! + 번호를 입려하면 해당 명령어가 실행 2016. 7. 3.
리눅스 Run Level RunLevel RunLevel 모드 설명 0 init 0 Power Off 시스템 종료 1 init 1 Rescue 응급복구, 단일사용자모드 2 init 2 Multi-user 사용하지 않음 3 init 3 Multi-user 텍스트 모드 4 init 4 Multi-user 사용하지 않음 5 init 5 Graphical 그래픽모드(X 윈도우) 6 init 6 Reboot 리부팅 2016. 7. 3.
git push 명령어 사용법 git init : master 모드로 변경git add ./* : 저장소에 추가할 파일git commit -m "comment" : 커밋 하고 메세지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id/저장소이름 : 저장소에 원격으로 추가할지 결정git push -u origin master : 저장소에 푸쉬함(올림) 처음이면 자격증명 로그인 창이 나타남. 로그인 해주면 됌 2016. 7.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