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들의 경제적 자립과 목돈 마련을 위한 정부 지원 정책이 크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현재 신청 가능한 청년적금 상품들은 기존 일반 적금과 차별화된 혜택을 제공하며, 특히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통해 실질적인 자산 형성이 가능합니다. 만 19세부터 34세까지의 청년이라면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이들 상품의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서민금융진흥원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5년간 최대 5천만원 목돈 조성
청년도약계좌는 현재 가장 주목받는 정부 지원 적금 상품입니다. 만 19세부터 34세까지 가입 가능하며, 개인소득 연 7,500만원 이하와 가구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인 청년을 대상으로 합니다. 월 최대 70만원까지 자유롭게 적립할 수 있으며, 소득 수준에 따라 정부가 월 최대 33만원의 기여금을 지원합니다. 기본 금리는 연 4.5%이며, 우대조건 충족 시 최대 연 6%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이자소득에 대해 비과세 혜택이 적용되어 실질적인 수익률이 더욱 높아집니다. 가입기간은 5년이며, 성실 납입 시 개인신용평가 점수에 가점까지 부여됩니다.
협약은행 및 신청 방법
청년도약계좌는 총 11개 은행에서 취급하고 있습니다. 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IBK기업은행, NH농협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과 부산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경남은행, iM뱅크 등 지방은행에서 가입이 가능합니다. 신청은 매월 초 일정 기간에만 가능하며, 은행 앱을 통한 비대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2025년 2월 기준으로 신청 기간은 2월 3일부터 14일까지이며, 계좌 개설은 1인가구의 경우 2월 20일부터 3월 14일까지, 2인 이상 가구는 3월 4일부터 14일까지 진행됩니다.
- 기본금리가 연 4.5%인 6개 주요 시중은행(국민, 신한, 우리, 하나, 기업, 농협) 추천
- 우대금리 조건은 급여이체, 카드 실적, 첫거래 우대 등으로 구성
- 신한은행의 경우 기존 거래고객은 최대 0.6%까지만 가능하므로 은행 선택 시 고려 필요
- 우리은행은 급여이체만으로도 1.0% 우대금리 달성 가능하여 조건 충족이 용이함
소득구간별 정부 기여금 및 혜택
청년도약계좌의 정부 기여금은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지원됩니다. 2025년부터는 지원 체계가 개선되어 더욱 유리해졌습니다. 연 총급여 2,400만원 이하인 청년의 경우 납입액의 6%에 해당하는 기여금을 받을 수 있으며, 월 최대 33만원까지 지원 가능합니다. 총급여 2,400만원 초과 3,600만원 이하는 4%, 3,600만원 초과 7,500만원 이하는 2%의 기여금을 받습니다.
소득구간 | 기여율 | 월 최대 기여금 |
---|---|---|
연 총급여 2,400만원 이하 | 6% | 33만원 |
2,400만원 초과 ~ 3,600만원 이하 | 4% | 28만원 |
3,600만원 초과 ~ 7,500만원 이하 | 2% | 14만원 |
기타 정부 지원 청년 저축 상품들
청년도약계좌 외에도 여러 정부 지원 저축 상품이 있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는 기초생활수급자나 차상위계층 청년을 대상으로 하며, 본인이 월 10만원 이상 저축하면 정부가 추가로 10~30만원을 지원합니다. 근로소득장려금으로 최대 월 50만원까지 받을 수 있어 저소득 청년에게 매우 유리한 상품입니다. 또한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중소기업 취업 청년을 대상으로 하며, 기업과 정부가 함께 지원하는 형태의 상품입니다. 정부24에서 자세한 신청 방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부 지원 적금 상품들은 일반 적금과 달리 세제 혜택과 정부 기여금이라는 두 가지 특별한 혜택을 제공합니다. 특히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5년 만기 시 원금과 이자, 정부 기여금을 합쳐 최대 5천만원 이상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어 청년층의 자산 형성에 큰 도움이 됩니다.
각 은행별 특화 청년적금 상품
정부 지원 상품 외에도 각 은행에서 독자적으로 운영하는 청년 특화 적금도 있습니다. 신한은행의 청년 처음적금은 만 18세부터 39세까지 가입 가능하며, 최고 연 8%의 금리를 제공합니다. 기본금리 3.5%에 우대금리 최대 4.5%를 더해 매우 높은 수익률을 자랑합니다. 만기는 1년이며 월 최대 30만원까지 적립 가능합니다. 급여이체, 신한카드 결제실적, 슈퍼SOL 앱 가입 등의 우대조건을 충족하면 최고 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하나은행도 청년도약플러스 적금을 통해 청년고객에게 특별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으며, 각 은행마다 고유한 우대 조건과 혜택을 갖추고 있어 본인의 거래 패턴과 조건에 맞는 은행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금융위원회에서도 청년 금융 지원 정책에 대한 최신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청년적금 가입 시 주의사항 및 활용 팁
청년적금 가입 시에는 몇 가지 주의사항을 염두에 둬야 합니다. 먼저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중도해지 시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없으므로 5년간 꾸준히 적립할 수 있는 여건을 확인해야 합니다. 다만 부분인출 서비스가 도입되어 3년 경과 후에는 납입원금의 40% 범위 내에서 부분적으로 인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생애최초 주택 구입, 혼인, 출산 등의 특별한 사유가 있을 때는 정부 기여금을 유지하면서 해지할 수 있습니다.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여러 상품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전략도 고려해볼 만합니다. 예를 들어 청년도약계좌로 장기 자산을 형성하면서, 동시에 단기 목적의 청년 특화 적금을 병행하여 가입하는 방법입니다. 금리 변동 가능성도 고려해야 하는데,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최초 3년은 기본금리가 고정되지만 4년차부터는 변동금리가 적용되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합니다. 서민금융진흥원을 통해 지속적으로 정책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