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언어와 매체에서 안긴문장의 범위를 정확히 찾는 것은 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문법 영역 중 하나입니다. 특히 안긴문장에 주어를 포함해야 하는지 아닌지 혼란스러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긴문장은 다른 문장 속에 들어가서 하나의 문장 성분 역할을 하는 문장으로, 명사절, 관형절, 부사절, 서술절, 인용절로 구분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각 절의 특성에 따른 안긴문장 범위 설정법과 주어 포함 원칙을 체계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안긴문장 구분의 3단계 원칙
안긴문장을 찾을 때는 절의 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먼저 어미를 확인하고, 어미가 없으면 조사를 확인하며, 둘 다 없으면 주어의 개수를 세어야 합니다. 이 순서를 지키면 안긴문장을 정확하게 찾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악어가 물 밖으로 나온다는 사실을 알았다에서는 먼저 나온다는에서 관형사형 어미 는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는 관형절의 증거이므로 악어가 물 밖으로 나온다는이 안긴문장이 됩니다. 한국어 절의 구조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정확한 분석이 가능합니다.
명사절 범위 설정 원칙
명사절은 으ㅁ이나 기와 같은 명사형 어미가 붙어 만들어지며, 문장에서 주어나 목적어 역할을 합니다. 명사절의 범위를 설정할 때는 명사형 어미 앞의 모든 요소를 포함해야 합니다. 그 일을 하기가 매우 어렵다에서 그 일을 하기가 전체가 명사절이며 주어 역할을 합니다. 주의할 점은 관형어 그 일을도 명사절에 포함된다는 것입니다. 명사절은 하나의 명사처럼 기능하므로 그것을 수식하는 모든 요소가 안긴문장에 포함됩니다.
- 명사형 어미 으ㅁ, 기가 붙은 용언을 중심으로 범위 설정
- 관형어 등 수식 요소도 모두 안긴문장에 포함
-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 수행
- 의문사가 포함된 경우 의문사부터 안긴문장 시작
관형절의 복잡한 범위 판단법
관형절은 관형사형 어미 으ㄴ, 는, 으ㄹ, 던이 붙어 만들어지며 체언을 수식합니다. 범위 설정에서 가장 혼란스러운 부분이 주어의 포함 여부입니다. 기본 원칙은 안은문장의 체언과 안긴문장의 성분이 중복되면 생략된다는 것입니다. 내가 읽던 책에서 읽던이 관형절이지만, 실제 안긴문장의 원래 구조는 내가 책을 읽던입니다. 여기서 책이 중복되므로 목적어가 생략되어 내가 읽던만 남게 됩니다. 안긴문장 구분 방법을 참고하면 더 명확한 이해가 가능합니다.
서술절 주어 중복 원리
서술절은 특별한 어미나 조사 없이 주어가 두 개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합니다. 꽃이 향기가 곱다에서 꽃이와 향기가 두 개의 주어가 나타나므로 향기가 곱다가 서술절입니다. 이때 주의할 점은 서술절의 주어인 향기가는 안긴문장에 포함되지만, 안은문장의 주어인 꽃이는 서술절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서술절을 안은 문장에서는 첫 번째 주어가 전체 문장의 주어이고, 두 번째 주어부터가 안긴문장의 시작점이 됩니다.
절의 종류 | 표지 | 주어 포함 원칙 |
---|---|---|
명사절 | 으ㅁ, 기 | 수식 요소 포함하여 전체 범위 설정 |
관형절 | 으ㄴ, 는, 으ㄹ, 던 | 중복 성분 생략 후 범위 결정 |
부사절 | 게, 도록, 아서 등 | 부사형 어미 앞까지 모든 요소 포함 |
서술절 | 주어 2개 | 두 번째 주어부터 안긴문장 시작 |
부사절과 인용절의 범위 특징
부사절은 게, 도록, 아서 등의 부사형 어미가 붙어 만들어지며, 안은문장에서 부사어 역할을 합니다. 땀이 나도록 뛰었다에서 땀이 나도록이 부사절입니다. 부사절의 범위는 부사형 어미 앞의 모든 요소를 포함하므로 주어인 땀이도 안긴문장에 포함됩니다. 인용절은 고, 라고 등의 인용 조사가 붙어 만들어지며, 직접인용과 간접인용으로 나뉩니다. 인용절의 범위는 인용 내용 전체가 되므로 인용된 문장의 모든 성분이 안긴문장에 포함됩니다.
인용절에서 특히 주의할 점은 간접인용에서 시제와 높임이 바뀔 수 있다는 것입니다. 형이 내게 아홉 시까지 집에 오라고 말했다에서 실제 형이 한 말은 너는 아홉 시까지 집에 와라일 수 있지만, 간접인용에서는 내가 아홉 시까지 집에 오라고로 바뀝니다. 국립국어원 표준에서 제시하는 인용절 분석법을 참고하면 더 정확한 이해가 가능합니다.
실전 문제 해결 전략
안긴문장 범위를 찾을 때는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먼저 문장에서 용언을 모두 찾고, 각 용언의 어미를 확인합니다. 관형사형, 명사형, 부사형 어미가 발견되면 해당 절의 성격을 파악하고 범위를 설정합니다. 나는 그 사람이 너를 속일 줄은 꿈에도 몰랐다에서는 속일에서 관형사형 어미 ㄹ을 발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그 사람이 너를 속일이 관형절임을 알 수 있습니다. 중복 성분인 줄은이 생략되었으므로 원래 구조는 그 사람이 너를 속일 줄은입니다.
문제를 풀 때는 안긴문장의 기능도 함께 파악해야 합니다. 관형절은 체언을 수식하고, 명사절은 주어나 목적어가 되며, 부사절은 용언을 수식합니다. 서술절은 주어가 두 개 나타나는 특수한 구조이고, 인용절은 말하기나 생각하기와 관련된 동사와 함께 나타납니다. 각 절의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고 적용하면 안긴문장 범위를 올바르게 찾을 수 있습니다. 문법 용어집을 참고하여 용어 정의를 정확히 숙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주요 오답 유형과 대처법
학생들이 자주 틀리는 유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관형절에서 주어를 빼먹는 경우입니다. 관형절의 원래 구조를 생각해보고 중복되는 성분만 생략해야 한다는 원칙을 기억해야 합니다. 둘째, 서술절에서 첫 번째 주어까지 포함하는 경우입니다. 서술절은 두 번째 주어부터 시작한다는 점을 명확히 해야 합니다. 셋째, 명사절에서 관형어를 빼먹는 경우입니다. 명사절은 하나의 명사덩어리이므로 그것을 수식하는 모든 요소가 포함됩니다.
정확한 안긴문장 분석을 위해서는 많은 연습이 필요합니다. 다양한 예문을 통해 각 절의 특성을 파악하고, 범위 설정 원칙을 체화해야 합니다. 특히 복잡한 문장에서는 안긴문장이 여러 개 나타날 수 있으므로, 체계적으로 하나씩 분석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꾸준한 학습과 반복 연습을 통해 안긴문장 분석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