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엑셀에서 날짜와 요일을 다루는 작업은 업무 자동화의 핵심 요소입니다. 특히 WEEKDAY 함수와 TODAY 함수를 활용하면 현재 날짜를 기준으로 주간 스케줄링이나 보고서 작성 시 매우 유용합니다. 이 두 함수를 조합하여 이번 주 월요일부터 다른 요일까지의 날짜를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동적인 달력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WEEKDAY 함수의 기본 구조와 활용법
WEEKDAY 함수는 지정된 날짜에 해당하는 요일을 숫자로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기본 구문은 WEEKDAY(날짜, 형식)이며, 형식 매개변수에 따라 요일 번호가 달라집니다. 형식이 1일 때는 일요일이 1, 월요일이 2가 되고, 형식이 2일 때는 월요일이 1, 일요일이 7이 됩니다. 가장 중요한 형식 3은 월요일을 0으로, 화요일을 1로, 일요일을 6으로 반환하여 주간 계산에 매우 편리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WEEKDAY 함수 공식 문서에서 더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TODAY 함수와 현재 날짜 처리 방식
TODAY 함수는 현재 시스템 날짜를 반환하는 간단하면서도 강력한 함수입니다. 매개변수가 필요하지 않으며 TODAY()로만 사용하면 됩니다. 이 함수는 파일을 열 때마다 자동으로 업데이트되므로 동적인 보고서나 달력 제작에 필수적입니다.
- 자동 업데이트 기능으로 실시간 날짜 반영이 가능합니다
- 다른 날짜 함수와의 조합으로 복잡한 계산이 쉬워집니다
- 서식 지정을 통해 다양한 날짜 표시 형태로 변환 가능합니다
- 업무용 템플릿 제작 시 기준점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합니다
이번 주 월요일 날짜 계산 공식
핵심 공식은 =TODAY()-WEEKDAY(TODAY(),3)입니다. 이 공식의 작동 원리를 살펴보면, TODAY() 함수가 현재 날짜를 반환하고, WEEKDAY(TODAY(),3)이 현재 날짜의 요일을 월요일 기준 0부터의 숫자로 변환합니다.
요일 | WEEKDAY 값 | 계산 공식 |
---|---|---|
월요일 | 0 | =TODAY()-0 |
화요일 | 1 | =TODAY()-1 |
수요일 | 2 | =TODAY()-2 |
목요일 | 3 | =TODAY()-3 |
다른 요일 날짜 계산 방법
월요일 계산 공식을 응용하면 원하는 요일의 날짜를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기본 공식에 요일별 숫자를 더하면 됩니다. 화요일은 +1, 수요일은 +2, 목요일은 +3을 추가하여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이번 주 금요일 날짜는 =TODAY()-WEEKDAY(TODAY(),3)+4 공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ExcelJet WEEKDAY 함수 가이드에서 실무 활용 예제를 더 확인해보세요.
주말 날짜 계산도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토요일은 +5, 일요일은 +6을 더하면 됩니다. 이렇게 계산된 날짜들은 자동으로 업데이트되므로 매주 변경되는 업무 스케줄이나 보고서 템플릿에 매우 유용합니다.
실무 활용 시나리오와 응용 기법
주간 보고서 작성 시 보고 기간을 자동으로 설정하거나, 프로젝트 마일스톤을 주 단위로 관리할 때 이 공식들이 매우 유용합니다. Contextures 엑셀 함수 활용법에서 더 다양한 실무 예제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급여 계산 시스템에서 주간 근무일을 자동 계산하거나, 회의 일정을 매주 월요일로 고정하여 스케줄링할 때도 활용 가능합니다.
조건부 서식과 결합하면 현재 주를 강조 표시하는 달력을 만들 수 있고, 데이터 검증 기능과 함께 사용하면 특정 요일에만 데이터 입력을 허용하는 시스템도 구축 가능합니다. AbleBits WEEKDAY 함수 고급 활용법에서 더 심화된 기법들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